Metric Spaces
거리공간Metric Spaces
이번 포스팅에서는 실해석학에서 다뤄지는 거리metric의 개념과, 이를 이용해 정의된 거리공간과 그 특성들에 대해 대략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. 해석개론에서 다루어지는 기본적인 열린/닫힌 집합의 개념과 열린/닫힌 집합에서의 수열과 같은 내용들은 분량상 생략하도록 하겠다.
정의
우선, Metric의 개념을 다음과 같은 실함수로 정의한다. Def 비어있지 않은 집합 $X$와 임의의 $X$의 원소 $x,y,z$ 에 대해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는 함수 $\rho: X \times X \to \mathbb{R}$ 을 metric이라고 한다.
- $\rho(x,y) \geq 0$
- $\rho(x,y) = 0 \iff x=y$
- $\rho(x,y) = \rho(y,x)$
- $\rho(x,y) \leq \rho(x,z) + \rho(z,y)$
공집합이 아닌 집합 X에 대해 위와 같이 정의된 Metric이 존재하면, 이를 거리공간(Metric Space)이라고 한다. 또한, 이러한 거리공간을 $(X, \rho)$ 형태로 표기한다. 예를 들어, 실수 전체의 집합(수직선)) $\mathbb{R}$에서 거리함수를 $\rho(x,y) = \vert x-y\vert $ 로 정의한 거리공간 $(\mathbb{R},\rho)$ 은 잘 정의된 거리공간이라 할 수 있다.
노음선형공간에서의 거리
이전에 다루었던 노음선형공간을 생각해보자. 이때, 노음의 정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삼각부등식 역시 만족시켜야 했는데(N1 성질), 이를 통해 어떤 노음선형공간 X에서 다음과 같이 metric을 정의하면,
\[\rho(x,y) = \Vert x-y\Vert \quad \forall x,y\in X\]이는 위에서 살펴본 거리의 성질을 모두 만족시키므로 노음선형공간은 거리공간임을 알 수 있다.
등장사상(isometry)
어떤 공집합이 아닌 집합 X에 대해 두 개 이상의 거리함수가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. 이때 두 metric의 비교가 필요한데, metric의 동치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 Def $\rho,\sigma$ 가 집합 X에서의 두 metric 일때, 두 metric이 동치인 것은 임의의 $x_1,x_2 \in X$ 에 대해 다음을 만족시키는 $c_1,c_2>0$ 이 존재한다는 것이다.
\[c_1\cdot\sigma(x_1,x_2)\leq\rho(x_1,x_2)\leq c_2\cdot\sigma(x_1,x_2)\]예시로 1차원 유클리드공간 $\mathbb{R}$에서의 다음 두 metric을 살펴보자.
- Discrete Metric : $\sigma(x,y) = I_{x=y}$
- Absolute Metric : $\rho(x,y) = \vert x-y\vert $
이 경우 두 거리함수는 동치가 아님이 쉽게 확인되는데, $x_1,x_2 \in X$ 가 $x_1=x_2$ 인 경우를 살펴보자. 그러면 부등식의 가운데 항이 $\rho(x_1,x_2)=0$ 임은 자명하다. 반면, 두 원소가 동일하므로 discrete metric은 $\sigma(x_1,x_2)=1$이다. 따라서 왼쪽 부등호는 어떠한 양수에 대해서도 성립하지 않으므로, 두 거리가 동치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다.
위와 같은 거리의 동치관계 말고도 거리공간의 동치관계 역시 정의할 수 있다.
Def 거리공간 $(X,\rho)$ 에서 $(Y,\sigma)$ 로의 사상 $f$ 가 다음을 만족할 때, 사상 $f$ 를 등장사상isometry이라고 한다.
임의의 $x_1,x_2\in X$ 에 대해 $\sigma(f(x_1),f(x_2))=\rho(x_1,x_2)$
거리공간에서의 연속 실함수
정의
Def 거리공간 X에서 Y로의 사상 $f:X\to Y$ 가 X에서의 임의의 수열 $x_n$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면 $x\in X$ 에서 연속이라고 정의한다.
\[\lbrace x_n\rbrace \to x \Rightarrow \lbrace f(x_n)\rbrace \to f(x)\]만일 X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사상 $f$를 연속이라고 한다. 해석개론에서 공부하는 입실론-델타 논법을 거리공간에 적용시키면, 다음과 같이 연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.
Epsilon-Delta 거리공간 $(X,\rho)$ 에서 $(Y,\sigma)$ 로의 사상 $f$ 가 연속인 것과,
임의의 $\epsilon>0$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$\delta>0$ 의 존재성은 동치이다. (이때 $N$은 근방neighborhood을 의미한다.)
마찬가지로, 균등연속(uniformly continuous) 역시 거리공간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가 가능하다.
Unif.continuity 거리공간 $(X,\rho)$ 에서 $(Y,\sigma)$ 로의 사상 $f$ 가 균등연속인 것과,
임의의 $\epsilon>0$ 및 $u,v\in X$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$\delta>0$ 의 존재성은 동치이다.
완비성
실수 집합에서 다루었던 것과 마찬가지로, 거리공간 $(X,\rho)$ 에서도 코시 수열을 정의할 수 있다. 임의의 $\epsilon>0$ 에 대해 자연수 $N$이 존재하여 $n,m \geq N \Rightarrow \rho(x_n,x_m)<\epsilon$ 을 만족하는 수열을 코시수열이라 정의한다. 이때, 거리공간 X의 모든 코시수열이 X의 어떤 점으로 수렴한다면 거리공간 X를 완비거리공간이라고 한다. 완비거리공간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:
- 유클리드공간 $\mathbb{R}^n$ 의 닫힌 부분집합 (공집합 X)
- 가측실수집합 E와 $p\in[1,\infty]$ 에 대해 $L^p(E)$ 의 닫힌 부분집합 (공집합 X)
- 공집합이 아닌 $C[a,b]$의 닫힌 부분집합
컴팩트성과 완전유계
완전유계공간 임의의 $\epsilon>0$ 에 대해 거리공간 X(혹은 X의 부분공간 E)가 유한개의 반지름이 $\epsilon$인 근방으로 덮일 수 있다면, X(E)를 완전유계공간이라고 한다.
어떤 거리공간 X에 대해 $\epsilon$-net 은 다음과 같은 유한덮개를 의미한다.
\[\lbrace N(x_k,\epsilon)\rbrace _{k=1}^n\quad \text{and} \quad E\subset\bigcup_{k=1}^n N(x_k,\epsilon)\]이때, 어떤 거리공간이 완전유계이면 정의에 의해, 임의의 $\epsilon$에 대해 해당 공간을 덮는 $\epsilon-$net 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. 또한, 임의의 $\epsilon$에 대해서 반대로 어떤 거리공간을 덮는 $\epsilon-$net이 존재한다면 해당 거리공간은 완전유계임도 자명하다. 이와 더불어, 어떤 거리공간이 완전유계이면 유한덮개가 존재하고, 유한덮개들의 합집합은 유계집합이므로 완전유계공간은 유계집합임 역시 알 수 있다.
점렬컴팩트공간 거리공간 X의 모든 수열이 X의 점으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진다면 이를 점렬컴팩트하다고 한다.
거리공간의 컴팩트성
거리공간 X에 대해 다음은 모두 동치이다.
- X가 완비거리공간이면서 완전유계공간이다.
- X가 컴팩트공간이다.
- X가 점렬컴팩트공간이다.
증명
(완비+완전유계 > 컴팩트) 만약 X가 완비이고 완전유계이지만 컴팩트하지 않다고 가정하자. 즉, X의 열린덮개 {$O_i$} 의 유한부분덮개가 존재하지 않는다. X가 완전유계이므로, 반지름이 1/2 보다 작은 유한개의 근방들로 구성된 덮개를 잡자. 그러면 이 중 어떤 덮개(열린집합)는 {$O_i$}의 유한부분덮개로 덮어지지 않는데, 이 덮개의 폐포 $F_1$를 생각하자. 그러면 $F_1$ 은 닫힌집합이고, 지름은 1 이하이다. 이번에는 반지름이 1/4보다 작은 유한개의 열린덮개들을 잡자. 이들 중 어떤 덮개와 $F_1$의 교집합은 {$O_i$}의 유한부분덮개로 덮이지 않을 것이고, 그 교집합의 폐포를 $F_2$라 하자. 그러면 $F_2 \subset F_1$ 이고, 귀납적으로 축소구간열 $F_n$ 을 계속해서 정의할 수 있으며, 각 $F_i$ 들은 {$O_i$}의 유한부분덮개로 덮이지 않는다. 그러나 축소구간정리에 의해 $x_0\in X$, $x_0 \in \bigcap_{n=1}^\infty F_n$ 인 원소 $x_0$ 이 존재한다. 또한 $x_0 \in O_k$ 인 k가 존재하고 $O_k$는 열린집합이므로 $N(x_0,r)\subseteq O_k$ 인 근방이 존재한다. 이때 축소구간열 $F_n$의 반지름을 충분히 작게 하면 $F_j \subseteq O_k$ 인 j가 존재하므로 이는 구간열 $F_n$이 유한부분덮개로 덮이지 않는다고 정의한 것과 모순이다. (점렬컴팩트 > 완비+완전유계) X가 완전유계가 아니라 가정하면 어떤 $\epsilon>0$ 에 대해서 유한개의 근방으로 X를 덮을 수 없다. 이에 한 점 $x_1 \in X$ 를 잡으면 X는 $N(x_1,\epsilon)$ 에 포함되지 않고, 따라서 $x_2\in X$ 이며 $\rho(x_1,x_2)>\epsilon$ 인 $x_2$ 를 잡을 수 있다. 그러면 X는 $N(x_1,\epsilon)\cup N(x_2,\epsilon)$ 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마찬가지로 $x_3\in X$ 을 잡자. 이렇게 귀납적으로 잡은 수열 {$x_n$}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지지 않으므로, 점렬컴팩트하지 않다.
완비성을 보이는 것은 점렬컴팩트성과 코시수열의 성질을 이용하면 쉽게 보일 수 있다.
앞서 살펴본 거리공간의 컴팩트성은, 거리공간이 유클리드공간의 부분공간으로 주어졌을 때는 다음이 성립한다. 이 중 1번과 2번 사이의 동치관계는 하이네-보렐 정리이며, 1번과 3번은 볼차노-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이들은 해석개론에서 다루기 때문에 본 포스팅에서의 증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.
유클리드공간에서의 컴팩트성
거리공간 X가 $\mathbb{R}^N$의 부분집합(부분공간) 일 때, 다음은 서로 동치이다.
- X가 닫혀있고, 유계집합이다.
- X가 컴팩트공간이다.
- X가 점렬컴팩트공간이다.
Lebesgue Covering Lemma
어떤 거리공간 X에 대해 {$O_i$} 가 X의 열린덮개라 하자. 그러면 X의 각 원소 $x\in X$를 포함하는 덮개의 원소 $O_\lambda$ 가 존재할 것이다. 또한 $O_\lambda$는 열린집합이므로, 어떠한 $\epsilon>0$ 이 존재하여 $N(x,\epsilon) \subseteq O_\lambda$ 를 만족시키게 된다. 일반적으로, 이 양수 $\epsilon$ 은 원소 x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. 반면 컴팩트 거리공간에서는 x에 관계없이 위 성질을 만족시키는 양수 $\epsilon$ 이 존재하며 이를 르벡 수Lebesgue number 이라고 한다.
르벡 덮개 보조정리 컴팩트 거리공간 X와 열린덮개 {$O_i$} 에 대해 양수 $\epsilon>0$ 이 존재하여 임의의 원소 $x\in X$에 대해 $N(x,\epsilon)$ 이 어떠한 덮개의 원소 $O_i$ 에 포함된다.
분해가능 Separable 거리공간
분해가능 공간은 이전에 살펴본 것과 같이, 가산조밀부분집합의 존재성으로 정의된다.
명제 컴팩트거리공간은 분해가능하다.
컴팩트거리공간은 완전유계이므로,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반지름이 1/n 인 유한개의 근방들로 덮을 수 있다. 이때 이렇게 구성된 근방들의 중심점들을 모으면 이는 유한집합이며, 임의의 $\epsilon$ 보다 작은 $1/n$ 을 잡을 수 있으므로(아르키메데스 정리) 조밀한 부분집합이 된다.
또한, 분해가능거리공간의 부분공간을 잡으면 이 부분공간 또한 분해가능임을 알 수 있다.
References
- Royden, H., & Fitzpatrick, P. M. (2010). Real analysis. China Machine Press.
Leave a comment